본문 바로가기

소방관련법

[소방관련법] 자동폐쇄장치 위치 표시는 어디에 해야 할까?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자동폐쇄장치의 위치 표시에 대한 기준은 현장 시공자와 설계자 모두에게 중요한 사항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NFSC 106 제14조」의 기준을 바탕으로 표지 부착 위치와 설치 목적을 정리합니다.

[소방관련법] 자동폐쇄장치 위치 표시는 어디에 해야 할까?

📝 질의요지 요약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자동폐쇄장치는 어떤 구조로 해야 하는가?
  • 자동폐쇄장치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지는 어떤 방식으로 부착해야 하는가?

✔ 정부 공식 회신 요약

  • NFSC 106 제14조 제3호에 따라, 자동폐쇄장치는 구획 외부에서 복구 가능한 구조여야 하며,
  • 해당 위치를 명확히 표시하는 표지를 부착해야 함.
  • 표지의 목적은 사용자가 즉시 위치를 파악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현장 여건에 따라 구체적인 부착 위치는 관할 소방서와 협의 필요.

📖 관련 기준 요약

기준명 조항 주요 내용
NFSC 106 제14조 제3호 자동폐쇄장치는 구획 외부 복구 가능 구조, 위치 표지 필요

✅ 실무 체크포인트

  • 복구 위치는 사용자가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함
  • 표지는 명확하게, 가독성이 높은 방식으로 표시
  • 현장 도면 반영 및 관할 소방서 사전 협의 필수

📌 결론

자동폐쇄장치는 소화설비의 신속한 복구와 가동을 위한 핵심 장치입니다. 그 위치는 구획 외부에 설치해야 하며, 명확한 표지 부착을 통해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NFSC 106 기준 준수현장 실정에 맞는 협의를 병행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