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자동폐쇄장치의 위치 표시에 대한 기준은 현장 시공자와 설계자 모두에게 중요한 사항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NFSC 106 제14조」의 기준을 바탕으로 표지 부착 위치와 설치 목적을 정리합니다.
📝 질의요지 요약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서 자동폐쇄장치는 어떤 구조로 해야 하는가?
- 자동폐쇄장치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지는 어떤 방식으로 부착해야 하는가?
✔ 정부 공식 회신 요약
- NFSC 106 제14조 제3호에 따라, 자동폐쇄장치는 구획 외부에서 복구 가능한 구조여야 하며,
- 해당 위치를 명확히 표시하는 표지를 부착해야 함.
- 표지의 목적은 사용자가 즉시 위치를 파악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현장 여건에 따라 구체적인 부착 위치는 관할 소방서와 협의 필요.
📖 관련 기준 요약
기준명 | 조항 | 주요 내용 |
---|---|---|
NFSC 106 | 제14조 제3호 | 자동폐쇄장치는 구획 외부 복구 가능 구조, 위치 표지 필요 |
✅ 실무 체크포인트
- 복구 위치는 사용자가 쉽게 찾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함
- 표지는 명확하게, 가독성이 높은 방식으로 표시
- 현장 도면 반영 및 관할 소방서 사전 협의 필수
📌 결론
자동폐쇄장치는 소화설비의 신속한 복구와 가동을 위한 핵심 장치입니다. 그 위치는 구획 외부에 설치해야 하며, 명확한 표지 부착을 통해 누구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NFSC 106 기준 준수와 현장 실정에 맞는 협의를 병행해야 합니다.
'소방관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물안전관리법] 환경기술인, 유해화학물질·위험물 관리자 3직무 겸임 가능할까? (0) | 2025.04.14 |
---|---|
[소방관련법] 유도등 종류별 형식승인 기준 – 화재안전기준(NFPC303) 해석 (0) | 2025.04.10 |
위험물 옥외저장소 유수분리조 설치 및 공용 사용 기준 – 위험물안전관리법 해석 (0) | 2025.04.03 |
[소방관련법] 내진설계 앵커 대체 제품 사용 기준 – 구조기술사 검토 시 법적 인정 여부 (0) | 2025.04.02 |
자동화재탐지설비 음향장치 변경 시 법적 기준 – NFSC 203 제8조2항 정리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