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현장에서 압력용기 및 저장탱크의 안전밸브를 설계할 때, 정확한 분출량 계산은 과압 방지와 안전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KOSHA GUIDE D-18-2020을 기준으로 탄소강 재질 적용 시 Tw(온도계수) 값 적용 방법과 공식 사용 여부에 대한 정부 질의회신을 바탕으로 정리합니다.
📝 질의요지 요약
- 질의: 탄소강 재질 용기에서 안전밸브 소요 분출량을 계산할 때 KOSHA GUIDE에 수록된 공식 및 Tw값(866K)을 적용해도 되는가?
✔ 정부 공식 회신 요약
- 「KOSHA GUIDE D-18-2020」의 ‘안전밸브 등의 배출용량 산정 및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을 따를 것.
- 해당 지침에서는 탄소강 재질일 경우 Tw 값은 866K로 고정되어 있음.
- 첨부한 공식은 가스, 증기, 초임유계 등 일반적인 분출 조건에 적용 가능.
📖 관련 기술기준 요약
항목 | 기준명 | 주요 내용 |
---|---|---|
분출량 공식 | KOSHA GUIDE D-18-2020 | 가스, 증기용 안전밸브 분출용량 산정 방식 수록 |
Tw 적용 | 탄소강: 866K | 공식 내 적용 고정값, 물성 테이블 포함 |
기술지침 적용 대상 | 산업용 압력용기 | 고압가스 저장 및 수송 용기, 반응기 등 포함 |
✅ 실무 체크포인트
- 분출용량 산정 시 KOSHA 기술지침 적용 우선
- Tw 값은 재질별로 사전 정의되어 있으므로 변경 불가
- 계산 시 공식에 따른 온도, 압력, 유량 단위 통일 필수
📌 결론
KOSHA GUIDE D-18-2020은 안전밸브 분출량 산정의 기준으로, 탄소강 재질의 경우 Tw 값은 866K로 고정 적용됩니다. 기술지침에 수록된 공식은 일반적인 산업용 가스 및 증기 조건에서 유효하므로, 설계 시 지침에 따른 공식 사용과 단위 일치를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재해예방시설 융자사업 지게차 지원 대상 조건 해석 (0) | 2025.04.02 |
---|---|
[산업안전보건법] 방폭구역 내 전동지게차 사용 – 국내 인증제품 존재 여부 (0) | 2025.04.01 |
산업안전보건기준 제386조에 따른 중량물 고임목 형태 해설 질의응답 (0) | 2025.03.29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설치 전기실, 밀폐공간 해당 여부 및 방호구역 조치 기준 (0) | 2025.03.27 |
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과 계약하지 않아도 되는 공사 조건은? (0) | 2025.03.26 |